매년 이맘때쯤이면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얼마나 오를지, 우리 집 살림살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해지죠. 특히 정부 지원금을 받으시거나 신청을 고려하는 분들에게는 정말 중요한 소식일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8월에 발표된 따끈따끈한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도대체 기준 중위소득이 뭔가요? 🤔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말, 뉴스에서 많이 들어보셨죠? 간단히 말해 대한민국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해요. 이 기준 중위소득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다양한 정부 복지 서비스의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선'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답니다.
정부는 매년 이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하고, 각 복지 제도별로 "기준 중위소득의 몇 % 이하"와 같은 방식으로 지원 대상을 정하게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8월 1일까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합니다. 최근 경제 상황과 물가 상승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돼요.
가장 중요한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금액! 📊
가장 궁금해하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100%) 금액을 가구원 수에 따라 정리해 봤어요. 2025년 대비 약 6% 수준으로 인상되어 역대 최대 증가율을 보였던 2025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2026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100%)
가구원 수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원/월) | 2025년 대비 |
---|---|---|
1인 가구 | 2,362,152원 | ▲ 133,707원 |
2인 가구 | 3,937,870원 | ▲ 222,898원 |
3인 가구 | 5,077,204원 | ▲ 287,389원 |
4인 가구 | 6,203,074원 | ▲ 351,117원 |
5인 가구 | 7,252,658원 | ▲ 400,701원 |
6인 가구 | 8,242,166원 | ▲ 446,559원 |
위 표의 금액은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이에요. 내가 신청하려는 복지 서비스가 기준 중위소득의 몇 %를 적용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는 32%, 의료급여는 40%를 기준으로 삼아요.
그렇다면, 생계급여는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
생계급여는 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 최저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예요. 2026년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가구가 받을 수 있습니다. 2017년 이후 9년 만에 30%에서 32%로 상향 조정된 것이 큰 특징이에요!
📝 2026년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32%)
아래 금액은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의 상한선이자, 받을 수 있는 최대 급여액입니다.
- 1인 가구: 755,889원
- 2인 가구: 1,260,118원
- 3인 가구: 1,624,705원
- 4인 가구: 1,984,984원
실제 지급되는 생계급여액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바로 우리 집의 '소득인정액'을 빼서 계산해요.
생계급여 계산 예시 (2인 가구)
- 2026년 2인 가구 생계급여 선정기준액: 1,260,118원
- 우리 집 소득인정액: 500,000원
→ 매월 지급받는 생계급여: 1,260,118원 - 500,000원 = 760,118원
2026년 핵심 복지 기준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오늘은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생계급여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아는 만큼 열심히 답변해 드릴게요~ 😊